인도 전통 음악 - 시타르를 중심으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3 01:42
본문
Download : 인도 전통 음악 - 시타르를 중심으로.hwp
오늘날 소련 남부의 투르크족은 두줄 현악기를 두타르라고 하는데 , 이악기는 3 줄 현악기인 세타르와 형제가 되는 셈이다.인도 전통 음악 - 시타르를 중심으로에 대한 글입니다.인도전통음악 , 인도 전통 음악 - 시타르를 중심으로예체능레포트 ,
순서






Download : 인도 전통 음악 - 시타르를 중심으로.hwp( 98 )
인도 전통 음악 - 시타르를 중심으로
레포트/예체능
다.
*제3기: 후기 무굴 시대(1707~1858)
-시타르가 본격적으로 독주 악기가 된 시기이다.
*제2기: 초기의 무굴 시대(1526~1707)
-당시 세계무역의 중요한 교통로 였던 중앙아시아에서 신선한 음악이 한꺼번에 유입되었다.이때,인도에 있었던 3줄 현악기가 세타르라는 이름으로 고쳐지고 북인도의 중요한 타악기인 타블라가 제작되었으며,북인도음악의 중요한 카얄 형식이 스타트되었다.
2.북인도의 음악
1)지적인 음악-각 음이 정확한 음계음을 따라 움직임
빠르기는 시종 변화가 없다.
2)대표적인 악기-시타르
*현재 인도에서 시타르.세타르.사타르라고 불리고 있다
*1줄짜리 현악기=엑타르,2줄=두타르,3줄=세타르.
*세타르는 나중에 시타르로 변하게 됨
ⅰ)시타르의 역사(歷史)
*제1기: 델리 술탄 시대(1192~1526)
-페르시아 투르크 계통의 움악울 많이 수입했다.
설명
사용하는 2줄의 조율-완전 5도
2)감정적인 음악-선율면에서 각 음이 시종 변함 없이 정확한 음계음을 따라 움직이는 것이 남인도음악이며, 느린 부분에서 포르타멘토를 사용하는 것 북 인도음악이다. 비단실을 쇠줄로 대체했고…(skip)
인도전통음악
,예체능,레포트
인도 전통 음악 - 시타르를 중심으로에 대한 글입니다. 한국음악사에 획기적인 발전을 가져온 서역 음악의 유입은 바로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장구.피리.비파 등이 들어온 것을 말한다. 이는 아주 획기적인 것으로, 오늘날의 시타르의 기초를 마련한 샘이다. 울림통으로 커다란 박통을 달아서, 음량이 종전보다 훨씬 증가했다. 이 시기에 세타르는 괘[Fret]가 생기고,3줄을 F.A.A.로 조율하 게 되었는데,.이 조율법은 오늘날에도 사용되고 있다 악기의 줄은 동물 내장인 벨을 쓰다가 뒤에 비단실로 바꾸었다. 또 빠르기에서 변화가 심하다.